맨위로가기

칭다오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칭다오 전투는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이 독일 제국이 점령하고 있던 중국 산둥반도의 칭다오를 공격하여 벌어진 전투이다. 독일은 19세기 말 칭다오를 조차하여 요새를 건설하고 동아시아 함대를 주둔시켰다. 1914년 8월, 영국이 일본에 참전을 요청하면서 일본은 독일에게 선전포고하고, 육군과 해군을 동원하여 칭다오를 공격했다. 일본군은 룽커우에 상륙하여 포위 작전을 펼쳤고, 항공전을 통해 정찰 및 폭격을 시도했다. 독일군은 요새를 구축하고 방어했지만, 일본군의 강력한 포격과 공세에 밀려 11월 7일 항복했다. 전투 결과, 일본은 칭다오를 점령하고 산둥반도에서 독일의 영향력을 대체했으며, 독일군 포로들은 일본 각지의 수용소에 수용되었다. 칭다오 전투는 3.1 운동과 한국 독립운동가들의 인식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 동아시아 정세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1차 세계 대전 중 일본 -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일본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일본은 영국과의 동맹에 따라 참전하여 독일의 식민지를 점령하고 경제적 호황을 누렸으나, 종전 후 사회적, 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며 군국주의가 부상하는 결과를 낳았다.
  • 칭다오시의 역사 - 칭다오 수비군
    칭다오 수비군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이 칭다오 점령지 군정을 위해 1914년부터 1922년까지 운영한 군대로, 칭다오 수비보병대와 헌병대로 구성되어 사령관과 참모를 두고 군정을 수행했다.
  • 칭다오시의 역사 - 자오저우만 조차지
    독일 제국은 선교사 피살 사건을 빌미로 청나라로부터 자오저우만 조차지를 99년간 조차하여 칭다오를 중심으로 식민 도시를 건설하려 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과 중일 전쟁을 거치며 일본에 점령되는 등 우여곡절을 겪었다.
칭다오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명칭칭다오 전투
다른 언어 명칭독일어: Belagerung von Tsingtau
일본어: 青島の戦い
중국어: 青岛战役 (간체), 青島戰役 (번체)
시기1914년 8월 27일 ~ 1914년 11월 7일
장소자오저우만, 칭다오
좌표36°04′N 120°23′E
결과연합군의 승리, 일본의 칭다오 점령
관련 전쟁제1차 세계 대전
교전 세력
교전국 1일본 제국
영국
해군 지원: 프랑스 제3공화국
교전국 2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지휘관 및 지도자
교전국 1가미오 미쓰오미 (일본 제국 육군)
가토 사다키치 (일본 제국 해군)
나사니엘 버나지스턴 (영국)
교전국 2알프레트 마이어-발데크 (독일 제국, 항복)
리하르트 마코비츠 (오스트리아-헝가리)
전력
교전국 124,500명
1척의 수상기 모함
5척의 전함
2척의 순양전함
1척의 방호 순양함
2척의 구축함
2대의 항공기
교전국 23,750명
1척의 방호 순양함
1척의 비보호 순양함
1척의 어뢰정
4척의 포함
2대의 항공기
피해 규모
교전국 1사망: 727명
부상: 1,335명
방호 순양함 1척 침몰
구축함 1척 침몰
전함 1척 손상
항공기 1대 파괴
교전국 2사망: 199명
부상: 504명
포로: 3,047명
방호 순양함 1척 자침
비보호 순양함 1척 자침
어뢰정 1척 자침
포함 4척 자침
민간인 피해일본군에 의해 중국 민간인 98명 사망, 30명 부상
이미지
칭다오 공방전 당시 독일군
칭다오 공방전 당시 독일군 (1914년 11월)
1912년 칭다오 지도 (독일어)
1912년 칭다오
관련 항목
관련 캠페인아시아-태평양 전역
해양 사령부 1914-1917
일본의 식민지 캠페인

2. 배경

19세기 말, 독일은 다른 유럽 열강들과 함께 식민지 획득 경쟁에 뛰어들었다. 1897년 거야 사건으로 독일인 선교사 두 명이 사망하자, 독일은 이를 빌미로 1898년 청나라로부터 산둥반도의 자오저우 만 조차지를 99년간 조차했다.[3] 독일은 칭다오 시와 항구를 건설하고, 동아시아 함대의 기지로 삼았다. -- 영국의 영국 지배하의 웨이하이웨이를 조차하고, 1902년 영일 동맹을 체결하여 일본과의 관계를 강화했다. 일본은 러일 전쟁에서 승리하며 동맹의 가치를 입증했고, 이는 제1차 세계 대전까지 이어졌다.

1914년 8월,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영국은 일본에 지원을 요청했다. 일본은 8월 15일 독일에 최후통첩을 보내 함대 철수와 칭다오 항구 이양을 요구했다. 8월 23일 최후통첩 기한이 만료되자 일본은 독일에 선전포고를 했다.[3] 막시밀리안 폰 슈페 제독 휘하의 독일 동아시아 함대는 코로넬 해전에서 영국 해군 함대를 격파했지만, 이후 포클랜드 해전에서 대부분 격침되었다.

2. 1. 독일의 방어 준비

독일은 20세기 초 의화단 운동을 겪으면서 칭다오 방어의 중요성을 인식했다. 항구와 마을은 가파른 언덕으로 반도와 분리되어 있었고, 독일은 이를 활용해 요새를 건설했다. 주요 방어선은 몰트케 산, 비스마르크 산, 일티스 산의 세 언덕을 따라 구축되었다.[3] 각 요새에는 다음과 같이 포가 배치되었다.

요새 이름배치된 포
몰트케 요새9.4인치(240mm) 포 2문
비스마르크 요새11인치(280mm) 곡사포 4문
일티스 요새9.4인치 포 2문[3]



주요 방어선 외에도 두 겹의 추가 방어선이 설치되었다. 두 번째 방어선은 약 17km 떨어진 가파른 언덕에, 최종 방어선은 마을에서 200m 높이의 언덕에 구축되었다. 다가올 포위전에 대비하여 참호, 포대 및 기타 요새 네트워크가 추가로 건설되었다.

해상 방어를 위해 독일은 항구 진입로에 기뢰를 설치하고 4개의 포대와 5개의 요새를 건설했다. 이 요새들은 충분한 병력을 갖추고 있었다. 칭다오 수비대는 해병대, 해군, 중국 식민지군, 오스트리아-헝가리 해군 등 다양한 병력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3,625명이었다.

3. 전투 경과

1914년 8월 27일, 일본 제국은 자오저우 만을 해상 봉쇄하고, 9월 2일 산둥반도 북부의 룽커우에 상륙했다. 당시 중화민국독일 제국이 강탈한 칭다오와 산둥반도를 탈환하고자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였고, 일본 제국영국, 이탈리아와 연합하여 참전하였다.[4]

일본군은 칭다오로 진격하면서 독일군과 교전을 벌였고, 10월 31일부터 칭다오 요새에 대한 본격적인 포격을 시작했다. 일본 제국 해군의 수상기 모함 와카미야는 세계 최초로 해상 항공 공격을 감행하여 독일군 진지를 폭격했다.[5]

독일군은 빌헬름 2세 황제가 "칭다오를 일본에 항복시키는 것은 베를린러시아에 항복시키는 것보다 더 수치스러울 것이다"라고 할 정도로 칭다오 방어를 최우선 순위로 삼았다. 알프레트 마이어-발데크 해군 대위가 지휘하는 독일 수비대는 해병, 해군 요원, 중국 식민지군, 오스트리아-헝가리 해군으로 구성되어 총 3,625명의 병력이었다. 이들은 어뢰정 , 퇴역한 비호 순양함 , 지원 순양함 , 4척의 소형 포함( , , , ), 오스트리아-헝가리 방호 순양함 등의 함선을 보유하고 있었다.

독일 수비대는 해상 봉쇄, 지속적인 포격, 6대 1의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거의 두 달 동안 저항했다. 9월 2일, 독일 포함 ''재규어''(Jaguar)는 좌초된 일본 구축함 시로타에(Shirotae)를 격침시켰다. 9월 5일, 일본 정찰기가 항구를 정찰하고 아시아 독일 함대가 출항했다고 보고하자, 일본군은 봉쇄를 풀었다. 다음 날, 와카미야에서 발진한 모리스 파르망 수상기는 자오저우 만에서 ''카이저린 엘리자베트''(Kaiserin Elisabeth)와 ''재규어''(Jaguar)를 폭탄으로 공격했지만 실패했다.

9월 13일, 일본 육군은 지모에 있는 독일 후위 부대를 기습 공격하여 점령했고, 이후 자오저우와 산둥 철도를 장악했다. 9월 26일, 가미오 미쓰오미는 진격을 재개했고, 독일군은 리순 강 너머로 후퇴했다. 9월 27일, 일본군은 하인리히 왕자 언덕을 정면 공격하려 했지만, 독일군의 맹렬한 십자포화에 막혔다.

10월 17일, 어뢰정 ''S90''은 칭다오 항구를 빠져나가 어뢰를 발사하여 일본 방호순양함 다카치호(Japanese cruiser 다카치호)를 격침시켰지만, 연료 부족으로 중국 해역에서 자침했다.

일본군은 10월 31일에 요새와 도시에 포격을 시작했고, 참호를 파기 시작했다. 11월 6일, 포병 탄약이 고갈되자 독일군은 항복을 결정했다. 11월 7일, 독일군은 백기를 게양하고 항복했다. 연합군은 11월 16일 식민지를 정식으로 점령했다.

독일 수비대는 군터 플뤼쇼우(Gunther Plüschow) 중위가 조종하는 에트리히 타우베(Etrich Taube) 항공기 1대를 배치하여 정찰 및 공격 임무를 수행했다. 플뤼쇼우는 자신의 권총으로 일본군 파르망 MF.7을 격추했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항공 역사상 최초의 공중전 승리로 기록된다.

3. 1. 일본군의 공세와 전략

일본군은 칭다오 요새 공략을 위해 제18사단을 주축으로 한 육군 병력과 제2함대를 동원했다. 가미오 미쓰오미 중장이 지휘하는 제18사단(약 29,000명)은 1914년 9월 11일 룽커우에 상륙했다.[18] 칭다오가 있는 산둥반도 남쪽은 기뢰와 독일 군함 때문에 상륙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어, 일부러 북쪽에 상륙했다.[19]

일본군은 러일 전쟁의 뤼순 포위전 경험을 바탕으로, 충분한 포병 화력을 확보하고 참호를 파는 신중한 전략을 택했다. 9월 27일부터 룽커우에서 칭다오를 향해 정찰하며 전진했고, 9월 28일에는 칭다오시 배후의 푸산과 구산을 점령, 독일군 요새 공략을 위한 포위 진지 구축에 착수했다.[19]

당초 일본군은 제18사단, 야전 중포병 연대 1개, 공성 부대 약간으로 구성했으나, 유럽 전황을 보고 더 강력한 공성포를 다수 추가하고 공병 독립 대대와 철도 연대도 추가했다.[20]

칭다오 요새를 포격하는 45식 24cm 유탄포


일본군은 45식 24cm 유탄포 등 최신 공성포를 투입, 10월 31일 제18사단과 제2함대는 공격을 시작했다. 38식 15cm 유탄포, 38식 10cm 카농포 등 중화기 포격으로 독일군 요새는 무력화되었다.[21] 10월 31일 밤 제1 공격 진지가 함락되었고, 11월 3일 제2 공격 진지가 함락되었다.[22] 11월 1일 오후 비스마르크 산 포대는 거의 전투력을 상실했고, 11월 5일 "전탄 소진 후 포대 폭파 및 철수" 명령에 따라 병사들이 퇴각했다.[21]

3. 2. 항공전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칭다오 전투는 초기 형태의 항공전이 벌어진 전투 중 하나였다. 일본 제국 해군은 수상기 모함 와카미야를 운용하여 모리스 파르망복엽 수상기를 투입했다. 해군 항공대는 9월 5일에 첫 출격을 했다.[25] 일본 육군 또한 임시 항공대를 편성하여 모식 2형 4기, 뉴폴 NG 2형 단엽 1기 등을 동원했다.[25][26]

대일본 제국 해군의 수상기 모함 와카미야 소속의 2기의 모리스 파르망 수상기 (칭다오, 1914년)


한편, 독일 제국군은 룸플러 타우베 정찰기 1대를 운용했다. 이 타우베는 정찰 임무를 수행하며 일본군 진지를 관찰하고, 독일군 포병에게 사격 목표를 제공하여 일본군을 괴롭혔다.[27] 9월 30일에는 "와카미야"가 기뢰에 접촉하여 일본으로 귀환하는 등, 일본군의 제공권 장악 시도는 어려움을 겪었다.

10월 13일, 일본군은 육군과 해군 항공대를 동원하여 타우베와 공중전을 벌였다.[28] 타우베는 뛰어난 기동성으로 일본군 항공기를 압도했지만, 2시간의 공중전 끝에 철수했다.[28] 이는 일본군 최초의 공중전이었다. 10월 22일에도 공중전이 벌어졌지만, 타우베는 일본군 항공기를 따돌렸다.[29]

독일군의 군터 플뤼쇼우(Gunther Plüschow) 중위는 에트리히 타우베 항공기를 이용해 정찰 및 공격 임무를 수행했다. 그는 권총으로 일본군 파르망 MF.7을 격추했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항공 역사상 최초의 공중전 승리로 기록된다.

3. 3. 독일군의 항복

1914년 11월 6일, 일본 보병대는 독일군의 세 번째 방어선을 공격하여 압도했다. 독일군은 포병 탄약이 고갈되자 항복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했다. 11월 7일 아침, 독일군 총독 마이어-발데크는 오스트리아-헝가리 동맹국과 함께 항복 조건을 요청했다.[11] 연합군은 1914년 11월 16일에 칭다오 식민지를 정식으로 점령했다.

11월 8일, 발데크 총독은 칭다오 수비군의 항복을 본국에 보고했고, 독일 제국의 빌헬름 2세는 그에게 1급 철십자 훈장을 수여했다.

칭다오에 입성할 때, 독일군은 일본군에게는 정면을 보였지만 영국군에게는 등을 보였다고 한다.[30]

많은 독일군 포로는 일본 각지의 포로 수용소로 이송되어 1919년 베르사유 조약 체결 때까지 수용되었다. 도쿠시마현의 반도 포로 수용소 등에서는 지역 주민과의 교류가 이루어져 독일 빵, 독일 과자, 악기 연주, 철봉 체조 등이 전파되었고,[31] 일본에 잔류하는 포로도 있었다.

4. 칭다오 전투와 한국

칭다오 전투는 직접적으로 한국과 관련은 없지만, 간접적으로 3.1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1]

4. 1. 3.1 운동에 미친 영향

1912년 청나라가 붕괴하고 중화민국이 건립된 이후, 중국은 일본, 독일 등 열강으로부터의 해방을 추진했으나 번번이 실패하였다. 1914년 중화민국은 독일 제국이 강탈한 칭다오와 산둥반도를 탈환하고자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였고, 중국으로 진출하려던 일본 제국이 독일과 싸우고 있던 영국이탈리아와 연합하여 중화민국의 전쟁에 참전하였다.[1]

5. 결과 및 영향

칭다오 전투에서 승리한 일본은 독일의 조차지와 산둥반도의 이권을 차지하고, 중국 내 영향력을 확대했다. 1914년 당시 중화민국독일 제국이 강탈한 칭다오와 산둥반도를 탈환하고자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였으나, 일본이 연합군으로 참전하면서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워졌다.

11월 8일, 발데크 총독은 일본군의 편의를 받아 칭다오 수비군의 항복을 본국에 보고했다. 독일 제국빌헬름 2세는 발데크에게 1급 철십자 훈장을 수여하고, 수비군의 선전을 치하하는 칙서를 내렸다.

칭다오 전투에서 발생한 인명 피해는 다음과 같다.

칭다오 전투 인명 피해
구분전사자부상자
일본 육군236명67명
일본 해군271명46명
영국군160명23명



일본 해군은 방호순양함 다카오치호가 침몰하고, 수상기 모함 와카미야가 크게 파손되는 피해를 보았다.

칭다오 전투는 동아시아의 세력 판도를 변화시키고,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의 팽창 정책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5. 1. 전후 처리

1919년 베르사유 조약 체결 및 발효까지 독일군 포로들은 일본 각지의 포로 수용소에 장기간 수용되었다.[30] 도쿠시마현의 반도 포로 수용소를 비롯한 여러 수용소에서는 지역 주민과의 교류가 있었고, 독일 빵, 독일 과자, 악기 연주, 철봉 체조 등이 전파되었으며[31], 일부 포로는 일본에 정착하기도 했다.

1920년 11월 1일, 칭다오 요새 공략의 공으로 가미오 미쓰오미 대장에게 공일급 금계훈장이 수여되었다.

칭다오 요새 함락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전사: 183명
  • 부상: 150명
  • 포로: 4,715명

참조

[1] 웹사이트 War Losses and Reparations (China) https://encyclopedia[...]
[2] 간행물 第一次世界大战中的远东战场———青岛之战述评 2014
[3] 서적 'War Monthly – Issue 37: Tsingtao 1914' 1976
[4] 문서
[5] 서적 Red Sun rising: Japan, China and the west 1894-1941 Andrews U.K. Ltd 2013
[6] 뉴스 Germans lose possessions in China https://archive.org/[...] 1914-11-16
[7] 문서 The Great War
[8] AV media Interview with [10285 Private] Thomas Rees, talking of his experiences at Tsingtao and landing at Gallipoli https://www.iwm.org.[...] BBC TV and Imperial War Museum 1964
[9] 웹사이트 Long view: The Gwent soldiers who fought alongside the Japanese https://www.southwal[...] South Wales Argus 2019-06-14
[10] 뉴스 A WAR BROUGHT TO LIFE https://link.gale.co[...] 2023-11-22
[11] 서적 'War Monthly – Issue 37: Tsingtao 1914' 1976
[12] 뉴스 http://nla.gov.au/nl[...] 1914-12-28
[13] 웹사이트 War Losses and Reparations (China) https://encyclopedia[...]
[14] 웹사이트 Tsingtau - historisch-biographisches Projekt http://tsingtau.info[...]
[15] 웹사이트 http://www.kaizenww1[...]
[16] Harvtxt
[17] Harvtxt
[18] Harvtxt
[19] Harvtxt
[20] Harvtxt
[21] Harvtxt
[22] Harvtxt
[23] Harvtxt
[24] Harvtxt
[25] Harvtxt
[26] 서적 日本の軍用気球 知られざる異色の航空技術史 潮書房光人新社
[27] Harvtxt
[28] Harvtxt
[29] Harvtxt
[30] 뉴스 http://trove.nla.gov[...] 1914-12-28
[31] 웹사이트 ドイツ人俘虜収容所 http://www.cf.city.h[...] 似島臨海少年自然の家 2018-0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